세탁조 청소해야 하는 이유
좋은 향기는 나지 않더라도 깨끗하게 옷을 입기위해 세탁기로 빨래를 하는데, 오히려 악취가 나거나 기분나쁜 꿉꿉한 느낌을 받은 경우가 있으실텐데요. 이는 세탁기가 보내는 일종의 신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세탁기도 일종의 소모품으로 오랫동안 사용하고 자주 사용 시 고장나기 마련인데요. 하루에 한 번 적어도 이틀에 한 번은 세탁기를 이용해 빨래를 함으로
이렇게 자주 사용하는 세탁조에 먼지와 세제,섬유제 끼꺼기가 뭉치기 시작하면서 아무리 빨래를 해도 냄새가 나고 꿉꿉함이 가시지 않게 됩니다. 고장없이 세탁기를 오래 사용하고 더욱 깨끗한 옷을 입기위해 할 수 있는 세탁조 청소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탁조 클리너의 효능
자주 하는 빨래이지만 세탁조 안은 쉽게 들여다 볼 수 없기에 냄새가 나고 이물질이 끼이기 전에 주기적으로 청소해 주면 좋습니다.
세탁조가 깨끗하지 않으면 세탁을 해도 옷에서 나는 쾌쾌한 냄새, 세탁물에 붙어있는 이물질,세탁한 옷을 입어도 몸이 간지러움,빨래한 옷에서 나는 냄새를 없애기 위해 섬유유연제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요.
세탁조에 이물질이 오래 끼이고 오랜시간 방치하고 섬유유연제를 많이 사용한다면 오히려 역효과로 악취가 몇 배로 나게 됩니다.
한 달에 한 번 주기적으로 세탁조를 깨끗하게 해 주면 물때,세제끼꺼기,곰팡이 등 세탁조 안에 유해 세균을 없애 냄새나고 불필요한 이물질 없이 우리 가족이 더욱 깨끗하고 기분좋게 옷을 입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세탁조 클리너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세탁조 클리너는 액상,가루,캡슐 형태로 대부분 판매되고 있습니다.
새롭게 출시되는 제품 일수록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염소계 성분의 세정제가 아닌 안전한 산소계 세정제로 성분들로,
향 까지 더해지고, 환경을 생각하는 소재로 만드는 회사들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리고,
드럼세탁기와 일반세탁기 공용으로 사용되도록 만들어져 구매시 어떤 세탁기용인지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도 있습니다.
세탁조 클리너 사용방법
세탁조 클리너는 한 달에 한 번 사용하길 권장하며,클리너 권장시간 이상 사용 시 인체에 유해할 수 있으니 적정시간을 지켜 사용하도록 합니다.
<가루 세탁조 클리너 사용방법>
40도 이상 온수를 가득 채우고 가루 클리너를 적정량 넣어 60분 이상 불린 후 표준모드로 작동시키고 오염물이 남아 있다면 추가로 헹굼 작동합니다.
<액상 세탁조 클리너 사용방법>
40도 이상 온수를 가득 채우고 액상클리너를 적당량 넣어 표준코스로 작동시킵니.
오염찌꺼기가 남아있다면 추가로 헹굼을 한 번더 가동하여 줍니다.
<캡슐 세탁조 클리너 사용방법>
40도 이상 온수를 가득 채우고 캡슐 클리너 하나를 넣어 5-10분 가동시켜 녹여줍니다.
60분이상 방치 후 표준코스로 작동 후 오염물이 남아 있다면 추가로 작동시켜 줍니다.
클리너 사용 시 주의사항
모든 클리너 사용 시 주의사항이 있는데요.
안전하게 사용하여 깨끗한 세탁조 청소가 될 수 있도록 주의사항도 알아보겠습니다.
- 어린이가 있는 가정은 어린이손에 닿지 않는곳에 보관하여 삼키거나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합니다.
- 임의적으로 다른제품과 섞어 사용 시 인체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니 다른 제품을 섞어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 사람 또는 동물에게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 시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으니 환기를 시키고 사용합니다.
- 서늘한 실온에서 보관하며,고온 및 직사광선이 닿지않는 곳에 보관합니다.
- 클리너와 옷을 함께 넣고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베이킹소다와 과탄산소다도 사용 가능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이 다양하게 많지만 집에 있는 재료로도 세탁조 청소가 가능한데요.
베이킹소다와 과탄산소다도 한 통씩은 가지고 계실텐데 이 2가지 조합으로도 세탁조 청소가 가능합니다.
다른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세탁기에 뜨거운 물을 가득 받아 베이킹소다+과탄산소다 2컵씩 넣어 담가 둔 후 표준세탁으로 동작 눌러주시면 거뭇한 먼지들이 빠져 나오며 곰팡이와 냄새를 제거해 줍니다.
이 때도 유의사항은 과탄산소다는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게 될 경우 활성산소가 발생하는 기체로 인해 폐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음으로 꼭 환기를 시키며 사용하여야 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교차 큰 환절기 건강관리 방법/ 환절기 질환 감기예방 (2) | 2023.10.04 |
---|---|
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퇴직금 목돈마련 노란우산 공제 가입방법 및 혜택 (1) | 2023.10.03 |
냉장고 속 단골 재료 과일/야채/채소/ 보관하는 방법 (3) | 2023.10.01 |
동서울터미널 재개발 2025년 착공,돛단배 모양의 40층 건물로 (2) | 2023.09.30 |
23년 단풍 개화시기,서울 단풍 명소, 구경하기 좋은 곳 (9) | 2023.09.29 |